본문 바로가기
사회정보

영·유아/소아 코로나 확진시 보호자 행동요령

by ▒♭」§­¡∋┑ 2022. 4. 6.
반응형

코로나19 확진 판정되어 격리에 들어간 아이는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서 격리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격리된 상황에서 아이들이 무섭고, 답답하고, 짜증 나는 마음이 드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말해주고, 기분이나 걱정을 표현하게 도와주어야 합니다. 또한 격리 조치에 대해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질문해보고 무엇을 생각하는지 물어봐 주세요. 정확하면서도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말로 설명해 주고, 고립감을 느끼지 않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유아/소아 재택 치료자의 보호자 준수사항

 

수유 및 이유식 관리

  • 확진된 영아에게 모유 수유가 가능합니다. 
    • 엄마도 코로나19 확진환자라면 직접 수유가 가능합니다. 
    • 수유하는 보호자가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았다면 유축하여 수유하는 것을 권장하나, 직접 수유를 해야 한다면 개인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
      *개인보호구 : 마스크(KF94 동급 또는 그 이상), 장갑을 권장합니다. 
    • 수유를 할 때 손 위생을 철저히 지키도록 합니다. 
  • 분유 수유 및 이유식
    • 분유는 젖병에 들어 있는 시판 액상분유나 일회용 젖병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일회용이 아닌 일반 젖병을 사용할 경우, 젖병을 다른 식기류와 분리하여 세정제와 온수로 철저히 세척합니다. 
    • 이유식은 1회분씩 용기에 소분해서 먹이고 나머지는 폐기합니다. 
    • 식기류는 일회용 용기를 사용하고 폐기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일회용이 아닌 식기류를 사용할 경우, 아이가 사용한 식기류는 따로 모아서 세정제와 온수로 세척하고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것을 피합니다. 

 

건강관리

  • 재택치료 중인 아이의 건강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세요. 
    • 체온은 아침, 저녁으로 2번 확인, 체온이 37.5℃ 이상이거나, 호흡기 증상(기침, 호흡곤란 등)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발열, 호흡기 증상이 발생하거나, 아이가 평소보다 숨을 빠르게 쉬거나 수유 시 힘들어하는 경우, 잘 먹으려 하지 않는 경우, 입술이 파래지거나 늘어지는 경우에는 즉시 119로 연락하시고 의료진의 진찰을 받고 적절한 처치를 받아야 합니다. 
  • 격리된 아이에 대한 마음 건강지침
    • 격리 중인 아이는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서 격리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격리된 상황에서 아이들이 무섭고, 답답하고, 짜증 나는 마음이 드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말해주고, 기분이나 걱정을 표현하게 도와주세요.
    • 격리 조치에 대해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질문해보고 무엇을 생각하는지 물어봐 주세요. 정확하면서도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말로 설명해 주고, 고립감을 느끼지 않도록 도와주세요.
    • 전화, 인터넷 등을 이용해서 선생님이나 친구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 심한 불안, 짜증, 행동문제 등을 지속적으로 보일 경우 정신건강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세요. 

 

개인위생 관리

  • 감염의 전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돌봄이 필요한 영유아·아동(만 11세 이하 또는 초등학생 이하)의 경우 보호를 위해 가능한 보호자(1인)를 지정하고, 그 외에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은 동거인은 최대한 재택치료 중인 아이와 접촉하지 않도록 합니다. 
    • 특히,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은 노인, 임산부, 만성질환, 암 등 면역력이 저하된 분재택 치료자를 돌볼 수 있는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이 재택치료 중인 아이와 불가피하게 접촉할 경우 서로 마스크를 쓰고 2m 이상의 거리를 둡니다. 
  • 보호자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고 물과 비누 또는 손세정제를 이용하여 손을 자주 씻으십시오. 
    • 올바른 손 위생 방법에 따라 손 씻기를 시행합니다. 
    • 특히, 다음의 경우 반드시 손 씻기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아이와 접촉 전·후, 아이 주변의 물품이나 가구 등을 접촉한 후, 개인보호구를 탈의 후 즉시 손 씻기
  • 아이의 구토 분비물, 대소변 등을 처리하는 경우는 반드시 마스크와 장갑 등을 착용하여 이물질에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은 다른 가족들과 생활용품을 구분하여 사용하세요.(식기, 물컵, 수건, 침구 등)
    - 재택 치료자의 식기류 등은 세척도 별도로 분리해서 합니다. 
  • 확진된 영유아 및 소아의 목욕
    • 보호자가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았다면 마스크를 착용하고 목욕시켜야 합니다. 
    • 아이가 목욕한 공간은 알코올(70% 에탄올)이나 차아염소산나트륨(락스, 1,000ppm 권장) 등의 소독제를 이용하여 청소해야 합니다. 

 

FAQ

  • 증상 모니터링은 어떻게 하나요? 
    • 집에 있는 체온계로 발열 체크 및 감기 증상이 발현되는지 모니터링합니다. 
    • 소아용 재택치료키트(체온계, 해열제, 감기약, (동거인 용) 자가검사 키트)는 요청 시 지자체 판단하에 지급될 수 있습니다. 
  • 어떤 증상이 나타날 수 있나요?
    • 발열(37.5℃ 이상), 권태감, 인후통, 호흡기 증상(기침, 호흡곤란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119로 연락하시고 의료진의 진료를 받고 적절한 처치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출처]

질병관리청 대표 누리집(홈페이지) www.kdca.go.kr  - 알림·자료 - 법령·지침·서식 - 지침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 대응 집단시설·다중이용시설 소독안내 참조 

 

댓글